티스토리 뷰
아침에 힘겹게 일어나서 겨우 알람 해제 버튼을 누르고 어쩌다 한 번 늦잠이라도 자고 일어나면 이리저리 시간에 쫓기느라 너무 힘들 텐데요. 아마도 이런 경우는 충분한 수면 시간이 부족한 경우가 대부분일 것입니다.
혹은 잠을 자려고 노력하지만 잠들지 못할 때가 많을 수도 있겠지요.
여기에서는 이런 수면 부족을 해결해 줄 침실의 조건과 잠을 잘자는 방법에 대해 다루어보도록 합니다.
잠을 잘오게하는 침실 조건
잠이 잘 오지 않는데도 억지로 잠을 청하는 대신 침실에 간단한 변화를 주어 스트레스 없이 편히 잠들 수 있는 방법을 실천해보세요. 다음은 잠들기 좋은 침실 환경을 만드는 방법입니다.
아늑한 침실 배경 : 침실의 전체 배경은 대담하고 밝은 것보다는 차분하면서 어두운 톤의 색상이나 배경이 쉽게 잠들기 좋습니다. 생생한 색상을 원한다면 베개나 침실 벽에 걸어두고 보는 예술 작품에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적절한 매트리스 선택 : 매트리스가 너무 딱딱하거나, 또 지나치게 푹신해도 잠에 영향을 줄 수 있는데요. 자신에게 잘 맞는 매트리스를 선택해야 편안함을 느끼며 잠을 자고, 일어나서도 상쾌한 기분으로 아침을 맞을 수 있습니다.
자기 전 침대 정리 : 침대 위가 어수선하면 자신도 모르는 사이에 불안을 느낄 수 있습니다. 또한, 한밤중에 잠에서 깨어 일어날 때 침대 위의 물건이 바닥에 떨어지는 것은 위험하기도 합니다.
적절한 온도 설정 : 너무 춥거나 너무 따뜻한 방에서 자면 긴장을 풀기가 어려울 수 있습니다. 추위를 쉽게 느끼거나 땀이 많이 나는 경우 자기 전에 실내 온도를 조정해 보세요. 또, 침대 가까이에 선풍기나 히터를 두는 것도 잠이 잘 오는 온도를 조절하는 방법입니다.
잠을 잘자는 방법
두뇌에 가장 큰 회복 효과를 주는 단계인 REM 수면 단계로 이동하여 깊이 잠을 자는 몇 가지 방법을 알아봅니다.
밤에 잠을 잘 자기 위해 낮잠을 자지 않으려고 노력하지만, 정말 참을 수 없을 땐 30분 정도 짧은 낮잠을 즐겨보세요. 오랜 시간의 낮잠은 밤에 잠드는 걸 방해할 수도 있지만 잠깐의 낮잠은 밤이 되어 보다 쉽게 졸음을 느끼게 할 수 있습니다.
또, 취침 시간이 가까워지면 카페인 등의 각성제를 섭취하지 않도록 주의하는 것도 중요합니다.
그 외에도 조명을 어둡게 하고, 노트북과 휴대전화의 전원을 끄고, 따뜻한 물로 목욕을 하거나, 몇 시간 동안 읽어도 흥미를 끌지 못할 정도로 지루한 책을 읽는 것도 잠들기 딱 좋은 방법입니다.
모든 팁이나 트릭이 효과가 있는 것은 아니지만 잠에 빠져들 수 있는 침실 환경과 자신에게 맞는 수면 팁의 조합을 찾는다면 잠 잘자는 것은 시간 문제가 될 것입니다.
'웰빙 마인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일하기 싫을때 : 하지만 그만둘 수 없을 때 (0) | 2022.03.29 |
---|---|
20대에 꼭 해야할 일 (0) | 2022.03.28 |
30대에 하지 않으면 안될 건강 습관 (0) | 2022.03.25 |
캠핑을 떠나야 하는 이유 (0) | 2022.03.21 |
집에서 자기관리 잘하는 방법 (0) | 2022.03.20 |